1차전 (10개 중 9개 맞음)
10:21 - 33
- 171
- B
- 172
- C
- CloudFront field-level encryption profile이 뭐지
- User가 sensitive information을 securely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. Edge에서 encryption이 일어나고, application task 전체에서 encrypted 상태로 다뤄지게 된다.
- 173
- B
- C랑 D는?
- 174
- B
- 175
- B
- 176
- A
- 177
- B
- 확인
- 178
- B
- A일 수도…
- D→ RDS snapshots을 S3에 저장할 수 있나?
- 정답: A
- AWS Backup
- EC2, EBS, RDS와 같은 AWS 리소스의 백업을 중앙에서 관리하고, Cross-Region Backup 기능을 통해 백업 데이터를 자동으로 다른 리전으로 복사할 수 있따.
- 자동화된 방식이다
- 반면, **Amazon Data Lifecycle Manager(Amazon DLM)**은 EBS snapshot의 수명 주기를 관리하는 주기로, EBS 인스턴스의 EBS 볼륨에 대해서는 적합하지만, RDS 백업 관리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.
- 179
- A
- IAM trust relationship이 뭐지?
- "이 역할을 누가 사용할 수 있는가?"를 결정하는 정책으로, 역할에 연결된 **주체(Principal)**를 정의
- 그래서 principal도 사용되는 리소스가 아니라, 해당 Role을 사용하는 리소스가 들어간다
- 180
- B, C
- 참고
- Shield - Load Balancer, CF, Route53
- WAF - CF, ALB, API Gateway
2차전 (10개 중 5개 맞음)
10:43 - 11:02
- 181
- A
- 182
- B
- 참고
- RDS Multi-AZ = Synchronous = High Availability
- Read Replica = Asynchronous = Disaster Recovery (DR)
- 183
- B
- A도 맞는 것 같음
- 정답: A
- Aurora auto scaling scales only read replicas
- 184
- C
- 정답: A
- Lambda가 VPC 내에서 실행되지 않으면 라우팅 테이블만으로는 해결 불가
- 185
- A
- 정답: B
- IAM 역할을 Amazon ECS 서비스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은 지원되지 않는다.
- ECS 태스크는 ECS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기본 단위이다. ECS 태스크는 태스크 정의에 따라 실행되며, 태스크 정의에 명시된 컨테이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.
- 태스크 정의(Task Definition):
- ECS 태스크가 어떻게 실행될지를 정의하는 설명서 같은 역할을 합니다.
- 태스크 정의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됩니다:
- 사용할 컨테이너 이미지(Docker 이미지)
- CPU 및 메모리 할당량
- 네트워크 설정 (예: VPC, 서브넷, 보안 그룹)
- IAM 역할 (태스크가 AWS 리소스에 접근할 때 사용할 권한)
- 환경 변수, 로그 설정 등
- 태스크(Task):
- 태스크 정의에 따라 실제로 컨테이너가 실행 중인 인스턴스입니다.
- 하나의 태스크에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.
- 태스크는 EC2 인스턴스 또는 AWS Fargate에서 실행될 수 있습니다.
- EC2 모드: EC2 인스턴스 위에서 컨테이너가 실행됨.
- Fargate 모드: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AWS가 컨테이너 실행을 관리.